혈액의 응고와 지혈을 담당하는 성분이 혈소판의 수가 감소하는 현상입니다. 혈액 내에는 1ul당 130,000~400,000개의 혈소 판이 존재하며 이보다 혈소판 수치가 감소하는 경우를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이라고 합니다.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원인
비장 같은 특정 기관에 혈소판이 포획되거나 , 골수에서 혈소판의 형성을 감소하거나, 혈소판의 파괴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발생하게 됩니다. 혈소판 감소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약물에 의한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고 세균성 혹은 바이러스성감염, 항암제로 인한 골수 억제,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 감경화, 재성 불량성 빈혈, 급성 백혈병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 증상
경도의 혈소판 감소증은 별다른 증상이 생기지 않습니다. 정도가 심해질수록 출혈 경향이 증가하여 피부에 멍이 잘 들거나 양치질할 때 잇몸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000/ul이하로 감소하게 되면 외상 없이도 주요 장기에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 치료 및 주의사항
간경화에 의한 혈소판 감소증은 일반적으로 별다른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세균성 감염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엔 감염이 치료되면 혈소판 감소증도 호전됩니다. 항암제 치료 후에나 약물에 의한 경우라면 약제를 중단한 뒤 저절로 회복합니다. 급성 백혈병이나 재생불량성 빈혈등 골수의 질병에 의한 경우엔 원인 질환에 맞는 항암제나 면역억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에 의한 것이라면 스테로이드 등 면역억제제를 우선 사용하게 됩니다. 면억억제제의 효과가 좋지 않을 경우 면역글로불린 같은 다른약제를 사용하거나 수술적 방법으로 비장절제술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혈소판 감소증 있는 경우 외상에 출혈위험성이 증가하므로 외상에 주의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