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 건조증 증상
안구 건조증은 눈물막의 불안정, 안구 표면의 손상과 염증, 눈물의 고 삼투압, 감각신경 이상 등으로 눈물 층의 항상성이 상실되어 다양한 안구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입니다. 세극등 현미경 검사 및 안구 표면 염색 검사를 시행하여 각결막의 건조 상태, 눈물띠의 두께, 각막의 염증, 눈꺼풀 테의 염증 유무와 정도를 측정합니다. 안구건조증의 증상은 눈이 시리고 모래알이 들어간 듯한 이물감 콕콕 쑤시는 느낌, 건조함을 호소합니다. 쉽게 눈이 피로하며, 눈을 감고 있으면 편하며, 눈을 뜨면 증상이 심해집니다. 겨울철 외출 시 찬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흐르며, 심한 경우 두통이 생기기도 합니다. 외관상 눈이 약간 충혈되어 있습니다. 여러 증상이 모두 나타나는 것은 아니고 이중하나 혹은 여러 개의 증상을 함께 보이게 됩니다. 심한 경우 안구표면이 손상됩니다.
안구건조증 원인및 치료
안구건조증의 원인은 눈물의 과도한 증발, 안구 표면의 염증, 눈물샘의 염증, 눈물 분비 저하, 마이봄샘의 기능 저하, 나이, 약물, 컨텍트렌즈, 쇼그렌 증후군, 이식편대숙주병, 스티븐존슨 증후군 등이 있습니다. 안구 건조증은 원인에 따라서 치료합니다. 눈물층의 각 부족성분을 보충해 주는 안약을 점안할 수 있습니다. 염증이 주된 원인일 경우 항염증 치료를 시행합니다. 마이봄샘 기능 장애 및 눈꺼풀 염증의 경우 온찜질 안대, 눈꺼풀 테의 청소를 시행합니다. 가장 보편적인 치료법은 인공 눈물 점안이며, 눈물점을 막아 배출되는 눈물의 양을 줄이기도 합니다. 안구 건조를 일으키는 질환이 확실한 경우에는 해당 질환을 치료하면 호전됩니다.
안구 건조증 예방
안구 건조증 증상이 있을 때는 저걸한 약물로 증상을 경감시켜 주고, 장기간 게임기나 컴퓨터 작업, 독서 등을 피하고 적절한 휴식을 취해 줍니다. 실내에서는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멀리하고 가습기 등을 사용하여 건조하지 않게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속눈썹 염색 및 화장을 가급적 피하고, 머리 염색, 헤어드라이어 스프레이 등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습니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항산화 식품을 섭취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