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외반증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지외반증

by 노랑주황 2023. 9. 7.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의 제1중족 발가락 관절을 기준으로 엄지발가락이 두 번째 발가락 쪽으로 과도하게 휘고 엄지발가락과 관절을 이루는 중족골은 반대로 안쪽으로 치우치는 변형이다. 이 변형은 발의수평면에서의 변형을 의미하는 용어이지만  실제로는 발가락이 방등 쪽으로 휘거나 회전( 엄지발가락 축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 회내)하는 변형을 동반한 삼차원적인 변형이다.

 

 

 

 

무지외반증 원인

무지외반증의 원인으로는 선천적인 요인과 후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선천적인 요인으로는 원위종족 관절면 각이 과다한 경우, 평발과 넓적한 발, 원발성 중족골 내전증, 과도하게 유연한 발 등을 들 수 있으며, 후천적인요인(외재적 원인)으로 신발코가 좁은 신발 또는 하이일 등의 굽이높은 신발을 자주 이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유전학적인 요인으로 모계유전의 확률이 높고, 류머티즘관절염의 합병증으로 생기는 경우도 있다.

 

 

 

무지외반증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제1중족 발가락 관절 안쪽의 돌출 부위(건막류)의 통증이다. 이부위가 신발에 자극을 받아 두꺼워지고 염증이 생겨 통증이 발생한다. 이차적으로는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발가락이 발바닥 쪽에 굳은살이 생기고 통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심한 경우에는 두 번째 발가락이 엄지발가락과 겹치면서 굳은살 및 압박성 피부궤양이 발생하기도 하며, 관절이 탈구되기도 한다. 새끼발가락 쪽에도 관절이 돌출 되는 변형이 생기기도 한다.

 

 

 

 

무지외반증 진단 및 치료

무지외반증은 외형적 변형만으로 진단할 수 있다.

  • 의사의진찰
  • 방사선 조견( 발에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 단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변형된 각을 측정하고 관절의 퇴행성 여부를 관찰한다.

무지외반증 환자의 치료 여부는 환자의 불편함 정도와 의학적 소견을 종합하여 결정하는 것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불편함의 정도이며 아무리 변형이 심하다고 해도 그것만으로 수술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 해야 한다.

  • 보존적인 치료

편한 신발 신기, 운동화 신기, 교정 안창을 넣기도 한다.

  • 수술적 치료 

증상이 없고 변형정도가 작은 대부분의  무지외반증은 수술이 필요 없다. 변형을 악화시키는 신발을 피하고 편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댓글